“선생님! 안드로이드 업데이트에 걸렸어요ㅠㅠ” AI 교과서, 뜻밖의 장애물은?

김원진 기자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개요. | 교육부 제공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개요. | 교육부 제공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초·중·고등학교 도입(2025년 1학기)을 두고 일선 교육청이 교사들의 연수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AI 디지털교과서 교원 연수 예산으로만 올해 3800억원을 책정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춰 학습이 가능하도록 AI 등 기술을 이용해 학습자료와 지원 기능을 실은 교과서다. 학교 현장 도입이 채 1년도 남지 않은 현재 일선 교사들은 AI 디지털교과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지난달부터 서울·경기·부산·광주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 7명을 인터뷰했다. 여성 4명·남성 3명으로, 모두 교육에 기술을 접목한 에듀테크 프로그램으로 학생을 가르치는 데 익숙한 이들이다. 교단의 디지털화에도 대체로 찬성하는 교사들이다. 일부는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선도교사단에서 활동 중이다.

현직 교사들은 교실에서 겪는 현실적이고 근본적인 고민과 어려움부터 말했다. A교사는 “오늘 수업을 하는데 학생 2명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업데이트에 걸려서 10분 동안 수업을 못했다”고 했다. 그는 또 “로그인을 쉽게 하는 등 아이들의 접근성을 높이려면 반대로 보안 수준을 일부분 포기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B교사는 “기기가 고장나면 고치는 데 시일이 걸린다”고 했다. 이어 그는 “문장을 타이핑해야 하는 수업도 걱정된다. 요즘 학생들은 자판 타이핑을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했다.

개별화를 내세운 AI 디지털교과서가 개별 학생을 위한 기기인지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교사들도 적지 않았다. C교사는 “요즘 학급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많은데 AI 디지털교과서를 다양한 언어로 구현하겠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고 했다. D교사는 “AI에게 구체적인 수치로 평가받고, 어쩌면 감시 받게 될 수 있는 아이들이 행복할지도 한 번쯤은 고민해봐야 한다”고 했다.

교사 7명 중 6명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속도전’을 우려했다. D교사는 “(교과서) 실물이 잘 나온다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했다. E교사는 “최소한 한두 학기는 시범 운영이 필요한데 AI 디지털교과서는 (개발이) 너무 빠르게 진행된다”며 “개인정보 제공 문제 등을 점검할 시간조차 없어 보인다. 견제받지 않는 개발 과정이 문제”라고 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내년 1학기에 도입되는데 오는 11월에야 검정을 마친다. 완성본에 가까운 실물도 이때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서두르는 정부 입장을 이해한다는 의견도 있다. E교사는 “교육 현장은 대체로 변화를 원치 않는다”며 “빠르게 도입하지 않으면 무엇이든 현장의 저항 등으로 안착하기 어렵다”고 했다.

교사들은 또 AI 디지털교과서가 추구하는 방향성이나 모델이 명확하지 않다고도 했다. D교사는 “교사가 무엇을 해야할지 구체적인 모습이 제시되지 않았다”면서 “과정 중심 학습이 중요하다면서도 AI 디지털교과서는 인공지능 기술로 학생 수준 파악·평가와 피드백처럼 양적인 ‘결과’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다”고 했다. F교사는 “학생들 스스로 학습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선 장점”이라면서도 “관련 회의를 가면 (정부가) AI 디지털교과서에서 ‘AI’를 빼려는 분위기도 느껴진다. 아직 기술 수준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했다.

교육부가 지난해 6월 공개한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 교육부 제공

교육부가 지난해 6월 공개한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 교육부 제공

맞춤형·개별화를 표방하는 AI 디지털교과서가 소득에 따른 학습 격차 해소를 가능하게 할지엔 다소 의견이 엇갈렸다. F교사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했을 때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학생의 적응력이 더 높았다”고 했다. B교사는 “코로나19 시기 부모 소득 수준에 따라 아이들의 디지털 기기나 프로그램 활용도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했다. G교사는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의 비율은 한 반에 10~20% 안팎이다. 격차 해소를 위해 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건 기기를 통한 진단이나 반복 학습보다 교사의 더 많은 관심과 지도”라고 했다.

반면 “아이들의 기계 활용 습득력이 워낙 좋다. 디지털 기기를 준다고 해서 딴짓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도 오해에 아깝다. 오히려 저소득층 아이들에겐 기회”(E교사)라는 견해도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교육격차를 해소하려면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식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C교사는 “교사와 학생 모두 각자의 스크린에만 집중하지 않았으면 한다”며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기보단 아이들이 협업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이 AI 디지털교과서에 담겼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개별화’를 강조하다 보면 차이와 다름을 이해하는 교육이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교사들은 AI 디지털교과서의 강점이 수학 과목에 있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내년 영어·수학 등 일부 과목에 먼저 도입된다. D교사는 “교육부가 만든 AI 기반 ‘똑똑! 수학탐험대’도 활용도가 높은 편이었다”면서도 “수학만 잘 구현돼도 쓸 만할 텐데, 완성도 높은 교과서가 나올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A교사는 “교사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이 AI 디지털교과서에 탑재된 수준별 (수학) 문제의 질”이라며 “현재 AI 디지털교과서 개발사들이 얼마나 양질의 문제를 확보했을지 다소 의문”이라고 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